
-
Autodit은 에임스의 보험상품 약관 자동분석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로 다양한 클레임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약관분석을 통해 보상 기준을 데이터화하고 보험금 산출, 감리, 상품 추천에 활용합니다.
Key point
사람이 약관을 확인하며 정보를 손으로 key-in 할 것인가, 기술로 데이터를 자동 생성할 것인가! 노동집약적이면서도 중요한 일을 Autodit으로 자동화합니다.
Clients
삼성화재
현대해상
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KB손해보험
Numbers
R&D: 2017-
서비스 런칭: 2019
약관 분석 처리량: 860,000 페이지 이상
처리속도: 500페이지 약관/1분
Technologies
Text Mining & Text Analytics
BRMS
RPA
Autodit은 에임스의 보험상품 약관 자동분석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응용해 다양한 클레임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보험사는 이를 통해 더 많은 보험금 지급내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습니다. 발견된 착오지급을 분석하면 착오지급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열쇠를 찾을 수 있습니다.
Autodit은 500 페이지의 약관을 분석하여 알고리즘을 생성하는데 약 1분이 소요됩니다.
- 상품 약관 상 특약의 세부 보상 담보 별 지급조건 자동분석
- 보험금 산출 룰 팩터 및 보장 기준 데이터 자동생성
- 보험금 지급내역 점검(Audit) 알고리즘 자동생성
에임스의 철학을 반영하여 알고리즘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험금을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였습니다. 에임스의 창업자들은 Automated 와 Audit을 조합하여 이 솔루션의 이름을 Autodit이라 이름 지었습니다. Autodit 솔루션은 크게 두 가지 모듈로 구성됩니다. 첫번째는 약관 자동 분석 모듈이며, 두번째는 착오지급 자동 점검 모듈입니다.
약관 자동 분석 모듈
약관 자동 분석 모듈은 보험상품 약관을 솔루션에 넣으면 Terms Interpreter를 통해 약관을 자동분석하고 면부책 판단, 보험금 계산, 착오지급 점검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1분이면 500 페이지 가량의 약관 분석을 끝낼 수 있습니다. 생성된 알고리즘은 Terms Converter를 통해 필요에 따라 보험회사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보험금 자동계산 룰을 생성하고 Autodit의 착오지급 자동점검 모듈에 사용되는 룰을 생성합니다.
Autodit은 Terms Converter의 Customize를 통해 각 보험회사의 시스템에 필요한 형태로 생성해 낼 수 있습니다. Autodit의 Terms Interpreter와 Terms Converter를 활용하여 보험회사의 보험금 자동 계산/심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보험금 지급내역 자동 점검 모듈
자동 점검 모듈은 Terms Interpreter에서 만들어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보험회사의 보험금 지급 이력 데이터의 지급 적정성을 자동으로 점검해주는 모듈입니다. Autodit은 약관을 기반으로 한 면부책 판단과 보험금 계산을 기본으로 Thematic Detection 모듈에 보험회사의 지침, 분쟁조정위원회 사례, 판례 등을 더하여 정교한 점검을 수행합니다. Automated Audit Reporting을 통해 자동 점검에 대한 시각화 된 개요와 사고 건 별 정상/비정상 판단 여부를 담은 리포트를 생성합니다.
1% 샘플링 점검에서 전수 검사로 Audit 혁신
약 2~3주 점검 소요 기간을 10분으로 단축
Autodit의 자동점검 기능을 활용하여 현재의 보험금 착오지급 점검 업무 방식을 혁신할 수 있습니다. 점검 인력을 늘리지 않고도 1%의 샘플링 점검에서 100% 전수 검사로 확대, 약 2~3주의 점검 프로세스를 10분으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 Autodit으로 점검인력을 대체하기 위한 솔루션이 아닙니다. 오히려, 점검자의 역할과 역량을 극대화하고자 합니다. Thematic Detection 모듈을 통해 점검 테마 설정 등에 점검의 사전 프로세스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Automated Audit Reporting을 통해 착오의 개괄적인 지형과 비정상 종결 건에 을 제공하여 정말 사람이 확인해야 할 건들에 집중하여 오류를 탐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지급내역 점검 업무의 경우 솔루션을 이용하여 점검 대상을 크게 확대할 수 있게 되며(기존 지급 건 1% 샘플 점검 → 전수점검), 점검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오지급 건 검출 량도 크게 늘어날 것입니다. (기존 100건/월 → 3,000건/월 이상) 이를 통해 보험금 지급 처리 건에 대한 실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어떤 담보에서 어떤 문제로 얼마나 오지급이 발생되고 있는가. 어떤 조치가 필요한가. 의사결정 할 수 있는 데이터가 만들어집니다.
보험금 오지급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게 되면, 담보 별로 오지급 유형 별로, 오지급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게 되고 시스템적으로 해당 유형의 착오지급을 제어하기 위해 어떤 개선 활동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시스템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유형의 오지급 유형부터 중요하고 시급한 착오지급 케이스부터 시스템 개선 작업을 추진합니다.
Autodit을 도입한 보험회사는 에임스의 전문 자문 서비스인 APS*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모델 및 IT 시스템 진단, 지급심사 자동화를 위한 혁신 로드맵 수립이 가능합니다.
*APS: AIMS Professional Service
도입 초기에는 Autodit이 검출한 비정상 건을 Audit 담당자가 에임스와 함께 직접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회사의 Audit 지침을 Autodit에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Autodit 도입 후 전수점검을 시행하면, 보험금을 지급한 사고접수번호 별로, 담보 별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담보 별이라 함은 진단, 수술, 입원일당, 비용 등의 정액담보와 의료비 담보를 의미합니다. 정액담보의 경우 실제 지급금액의 적정성을 점검하며, 의료비 담보의 경우 비급여 심사의 적정성까지 Autodit에서 자동 점검할 수 없기 때문에 의료비의 시스템 최초 추산이 정확하게 산출되었는지를 점검합니다.
정액 담보들은 각 사별로 담보 별 정상 지급 건을 기준으로 건 당 평균 지급보험금이 산출될 수 있고, 담보 별 오지급 건 수(오지급 율)가 도출되기 때문에 오지급으로 의심되는 건들의 규모를 진단할 수 있게 됩니다. 오지급으로 의심되는 건을 많이 찾았다고 하여 모두다 막을 수 있도록 조치를 할 수 있게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중 시스템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건들에 한해서 재무효과를 분석하여 정리하게 됩니다. 또한 면책 건에 대한 착오지급, 과다지급은 개선 시 누수 방지액이 산출되며, 지급누락, 과소지급 건은 개선 시 추가로 지급해야 할 보험금 규모가 산출되기 때문에 +/-를 상계하여 재무효과가 어떻게 산출될지는 회사 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utodit을 도입한 보험회사는 합리적인 비용에 에임스의 Audit 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Audit 지원 서비스(APS)는 에임스가 Autodit을 도입한 회사에 정기적으로 신상품/개정상품의 정보를 시스템에 반영하는 PF 내 상품속성 최신화 작업, 분기 별 지급내역 점검 작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보험금 자동산출 룰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보험회사는 Autodit을 활용하여 약관 자동분석, 보험금 자동 추산 룰 자동생성 기능을 활용하여 보험금 자동 추산을 할 수 있게 되며, 일부는 심사 담당자 배당 없이 자동으로 지급을 결정하는 조건을 룰화 하여 지급심사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게 됩니다. Autodit 프로젝트는 PF, Rule 활용 등 귀사의 운영모델 및 IT 시스템 상태를 진단하고 혁신 로드맵을 수립하는 자문서비스를 포함하여 추진될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으로 업무의 80~90%를 자동화하고, 사람은 가치 있는 10~20%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철학입니다.
3~4차례의 Iteration으로 자동 점검의 정확도를 95% 이상으로 향상시켜갑니다.
연간 처리되는 보험금 지급 건 규모는 사람이 모두 직접 Audit하기 어려운 양입니다. 가령, 기존에는 전체 보험금 지급 건의 1%에 해당하는 월 5,000건을 수작업 점검하여 점검 모수의 2%에 해당하는 오지급 100건을 검출했다면 Autodit을 도입한 보험회사는 전체 보험금 지급 건 50만 건을 자동 점검하여 점검 모수의 0~5% 수준에 해당하는 오지급 위험이 있는 비정상 건 0~25,000건을 1차 검출하고 QI/QA 인력은 비정상 건의 유형 별 샘플을 직접 리뷰하며 보험금 착오지급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Autodit 도입 프로젝트로 실행-개선을 약 3~4차례 반복하며 완성도를 만들어냅니다. 가령 Autodit 적용 시 최초 자동점검 결과물의 오지급 검출 정확도는 약 30~40% 수준일 수 있지만 2회차에 50%, 3회차에 80%, 4회차에는 95% 이상의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